분류 전체보기 (4) 썸네일형 리스트형 [내 땅의 용적률 알기] 용도지역에 따라 용적률을 계산해보자(건축연면적/바닥면적) 안녕하세요 율러프입니다!저번 포스팅에서 건폐율에 대해서 알아봤었죠?다들 한 번 따라해보셨나요? 지난번 포스팅의 순서를 다시 정리하면,1. 규모검토(건폐율/용적률)2. 대지면적과 건축면적3. 건폐율 계산하기4. 내 땅의 최대 건폐율 확인하기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네요! 1. 용적률오늘은 조금 더 깊게 가보겠습니다.잘 따라 오셔야 해요!규모검토를 향한 2단계는 용적률 검토하기입니다! 지난글의 건폐율 검토만으로는 규모 검토가 어렵다고 했었죠.왜냐하면 건폐율(%) = 건축면적/대지면적 × 100으로 높이에 대한 요소를 검토하지 않거든요!지난번 건축면적에 대한 설명에서도 느끼셨겠지만,건축면적은 높이나 층수와는 상관 없는 단순 수평투영면적이었습니다.그래서 건폐율 검토는 대지 면적을 어느 정도를 쓰는지를 검토하는2D .. [내 땅의 건폐율 알기] 건축물 규모검토, 용도지역의 건폐율 *누구나 건축주가 될 수 있습니다! 저번 포스팅에서 토지이용규제를 활용해서 - 토지의 용도지역 파악하기 - 지역에 따른 용도제한 파악하기 - 국토계획법 시행령 71조 확인하기 - 지방 자치 조례 확인하기 를 작성했습니다! - 규모 검토 그래서 내 땅에서 지을 수 있는 용도를 확인해봤는데요 오늘은 내 땅에 얼마나 크게 건물을 지을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보통 이 작업을 규모 검토라고 해요 규모 검토는 저번 글에서 확인했던 대지의 용도를 파악한 이후에 하는 작업입니다! 땅이 정해지지 않으면 규모검토 또한 할 수 없어요 규모 검토의 기본은 건폐율/용적률을 파악하는 것입니다. 먼저, 건폐율과 용적률이 무엇인지 알아야겠죠? 이번 글에선 건폐율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건폐율은 대지면적에 대한 건축면적의 비율입니.. [내 땅의 용도지역 알기]용도지역 안에서 건축제한, 토지 이용 규제 정보서비스 안녕하세요? 오늘은 토지 용도지역에 따라 지을 수 있는 건축물의 용도를 살펴보려고 합니다. 이 건물을 철거하고 상가를 지어볼까? 시골 땅에 주택을 지어볼까? 이런 생각이 들었다면 먼저, 땅에 어떤 건물을 지을 수 있는지 알아보셔야 합니다. 시골 땅에 상가건물을 지을 수 없는 이유 우리 상가 건물에 당구장을 입점할 수 없는 이유는 모두 땅의 용도에 따라 허가 받을 수 있는 시설이 정해져 있기 때문입니다. 토지 이용 규제 정보 서비스입니다. 저는 사례로 부산시청 옆에 있는 뚜레주르를 검색해보기로 했습니다. 주소를 입력하면 뜨는 지적도와 지역지구 정보 자! 보이시나요 여기에 땅의 모든 정보가 담겨있습니다 실제로 건축사사무소에서도 땅 주소를 받으면 제일 먼저 하는 것이 이 토지이용규제를 검색하는 일입니다! 제일.. 2020년도 제2회 건축사자격시험 일반 및 특별전형 시행공고 여러분들 6/20 시험 잘 치르고 오셨나요? 저도 첫 시험을 치르고 숨 좀 고르고 있어요 근데 그거 보셨죠? 제2회 시험 공고가 났더라구요 2020.9.26(토) 저 날입니다!! 공고문 보시고 오실게요 접수 기간 : 2020.7.28(화) 09:00 ~ 2020.08.04(화) 18:00 1회 시험 합격예정자 발표는 2020.7.31 이니까 잘 살펴보시고 접수기간 놓치지 마세요! 지난 1회 시험은 7,000명 정도가 응시했다고 합니다. 1교시 응시율 67.9% 2교시 응시율 50.9% 3교시 응시율 57.6% 이었고 작년보다 조금 감소한 수치였다고 합니다! 다들 건승을 빌겠습니다~! 이전 1 다음